Linked Open Data

사자사(사자암)(@ko)http://data.visitkorea.or.kr/resource/317561

Description
사자사는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산 정상 부근에 위치한 절터로, 2000년 3월 31일 전북특별자치도기념물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백제 무왕과 선화비가 행차 중 미륵삼존불을 목격한 사건을 계기로 미륵사가 창건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자사는 백제 불교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993년 발굴조사에서 ‘지치 2년 사자사조와’ 명문기와가 출토되어 이곳이 사자사터임이 확인되었다. 유구에서는 고려와 조선 시대의 건물터 흔적과 함께 통일신라 토기, 백제 기와, 분청사기, 청자, 백자 등이 발견되어 다양한 시대의 흔적이 공존함을 보여준다. 현재는 대웅전과 요사채, 석탑 1기가 남아 있으며, 발굴 후 과거 법당 자리에 약간 확장된 형태로 대웅전을 복원하였다. (@ko)
Property Value
ktop:address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구룡길 57-125(@ko)
ktop:category id:A02010800
ktop:closedForTheDay 연중무휴
ktop:location id:CATEGORY:370903
ktop:parking 가능
ktop:postalCode 54571
ktop:tel 063-859-5875
ktop:timeAvailable 상시 개방
dc:description 사자사는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산 정상 부근에 위치한 절터로, 2000년 3월 31일 전북특별자치도기념물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백제 무왕과 선화비가 행차 중 미륵삼존불을 목격한 사건을 계기로 미륵사가 창건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자사는 백제 불교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993년 발굴조사에서 ‘지치 2년 사자사조와’ 명문기와가 출토되어 이곳이 사자사터임이 확인되었다. 유구에서는 고려와 조선 시대의 건물터 흔적과 함께 통일신라 토기, 백제 기와, 분청사기, 청자, 백자 등이 발견되어 다양한 시대의 흔적이 공존함을 보여준다. 현재는 대웅전과 요사채, 석탑 1기가 남아 있으며, 발굴 후 과거 법당 자리에 약간 확장된 형태로 대웅전을 복원하였다.(@ko)
rdf:type :HistoricalPlace
:Attraction
:Place
schema:Place
:CulturalAttraction
:Temple
rdfs:label 사자사(사자암)(@ko)
geo-pos:lat 36.0221387160(xsd:double)
geo-pos:long 127.0386188621(xsd:double)
skos:altLabel 사자사(사자암)(@ko)
skos:prefLabel 사자사(사자암)(@ko)
foaf:depiction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0/3511700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99/3511699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98/3511698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1/3511701_image2_1.jpg
foaf:name 사자사(사자암)(@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