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 Open Data

망해암(@ko)http://data.visitkorea.or.kr/resource/304801

Description
망해암은 1940년대에 편찬된 「봉은본말사지」의 기록에 따르면 신라의 원효대사가 처음 세웠다고 한다. 이후 망해암에 관한 기록은 조선 전기부터 나타난다. 용화전의 석불 입상에 ‘성화 십오년 사월 일 조성(成化十五年 四月 日造成)’이라고 새겨져 있어서 이 불상이 1479년(성종 10)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조 때에 펴낸 「여지도서」, 18세기에 신경준이 쓴「가람고」, 그리고 「승정원일기」 1843년(헌종 9)기록에도 ‘관악산 망해암’ 등의 내용이 있다. 망해암은 1803년(순조 3), 1863년(철종 14)에 중창하였으나, 1922년 화재로 모두 불타 다시 건립하였다. 현재의 망해암은 한국전쟁으로 불에 타버린 것을 천불전과 지장전 등을 추가하여 중창한 것이다. 망해암이란 ‘바다를 볼 수 있는 암자’라는 뜻으로, 이곳에서 아름다운 서해바다 낙조를 감상할 수 있다. 각박한 도시 일상을 벗어나 나만의 고즈넉한 시간을 가져볼 수 있다. (@ko)
Property Value
ktop:address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임곡로 245(@ko)
ktop:babyEquipmentRental 불가능
ktop:category id:A02010800
ktop:closedForTheDay 연중무휴
ktop:location id:CATEGORY:311732
ktop:parking 가능
ktop:postalCode 13916
ktop:tel 031-443-5559
ktop:timeAvailable 09:00~18:00
dc:description 망해암은 1940년대에 편찬된 「봉은본말사지」의 기록에 따르면 신라의 원효대사가 처음 세웠다고 한다. 이후 망해암에 관한 기록은 조선 전기부터 나타난다. 용화전의 석불 입상에 ‘성화 십오년 사월 일 조성(成化十五年 四月 日造成)’이라고 새겨져 있어서 이 불상이 1479년(성종 10)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조 때에 펴낸 「여지도서」, 18세기에 신경준이 쓴「가람고」, 그리고 「승정원일기」 1843년(헌종 9)기록에도 ‘관악산 망해암’ 등의 내용이 있다. 망해암은 1803년(순조 3), 1863년(철종 14)에 중창하였으나, 1922년 화재로 모두 불타 다시 건립하였다. 현재의 망해암은 한국전쟁으로 불에 타버린 것을 천불전과 지장전 등을 추가하여 중창한 것이다. 망해암이란 ‘바다를 볼 수 있는 암자’라는 뜻으로, 이곳에서 아름다운 서해바다 낙조를 감상할 수 있다. 각박한 도시 일상을 벗어나 나만의 고즈넉한 시간을 가져볼 수 있다.(@ko)
rdf:type :HistoricalPlace
:Attraction
:Place
schema:Place
:CulturalAttraction
:Temple
rdfs:label 망해암(@ko)
geo-pos:lat 37.4116074145(xsd:double)
geo-pos:long 126.9262579207(xsd:double)
skos:altLabel 망해암(@ko)
skos:prefLabel 망해암(@ko)
foaf:depiction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3/3499503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2/3499502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6/3499506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5/3499505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4/3499504_image2_1.jpg
foaf:name 망해암(@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