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 Open Data

동북공심돈(@ko)http://data.visitkorea.or.kr/resource/2613657

Description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창룡문 인근에 있는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은 성곽 주위와 비상시에 적의 동향을 살피기 위한 망루로, 화성에서 처음 등장했다. 1796년(정조 20) 높이 5.42m, 둘레 38m 규모로 완성됐으며 한국전쟁 과정에서 완파된 뒤 1975년 복원됐다. 화성에는 이외에도 서북공심돈·남공심돈이 있다. 동북공심돈은 군사적 요충지인 것은 물론 수원화성 건축물 중 유일하게 원형형태로 희소성이 높다. 커다란 둥근 원의 모습으로 내부는 소라처럼 생긴 나선형의 벽돌 계단을 통해서 꼭대기에 오르게 돼 있어 일명 ‘소라각’이라고도 불린다. 최상층에 올라서면 화성 전체의 모습을 조망할 수 있다. (@ko)
Property Value
ktop:address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ko)
ktop:babyEquipmentRental 불가능
ktop:category id:A02010200
ktop:closedForTheDay 연중무휴
ktop:creditCard 불가능
ktop:location id:CATEGORY:311324
ktop:postalCode 16254
ktop:tel 031-228-3034
ktop:timeAvailable 상시 개방
dc:description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창룡문 인근에 있는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은 성곽 주위와 비상시에 적의 동향을 살피기 위한 망루로, 화성에서 처음 등장했다. 1796년(정조 20) 높이 5.42m, 둘레 38m 규모로 완성됐으며 한국전쟁 과정에서 완파된 뒤 1975년 복원됐다. 화성에는 이외에도 서북공심돈·남공심돈이 있다. 동북공심돈은 군사적 요충지인 것은 물론 수원화성 건축물 중 유일하게 원형형태로 희소성이 높다. 커다란 둥근 원의 모습으로 내부는 소라처럼 생긴 나선형의 벽돌 계단을 통해서 꼭대기에 오르게 돼 있어 일명 ‘소라각’이라고도 불린다. 최상층에 올라서면 화성 전체의 모습을 조망할 수 있다.(@ko)
rdf:type :HistoricalPlace
:Attraction
:Place
schema:Place
:CulturalAttraction
:Fortress
rdfs:label 동북공심돈(@ko)
geo-pos:lat 37.2894511080(xsd:double)
geo-pos:long 127.0245163019(xsd:double)
skos:altLabel 동북공심돈(@ko)
skos:prefLabel 동북공심돈(@ko)
foaf:depiction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15/3456915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10/3456910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9/3456909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14/3456914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13/3456913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12/3456912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11/3456911_image2_1.JPG
foaf:name 동북공심돈(@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