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 Open Data

옥구향교(@ko)http://data.visitkorea.or.kr/resource/126392

Description
옥구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세운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이다.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에 위치한 이 향교는 조선 태종 3년인 1403년에 처음 세워졌다. 인조 24년인 1646년에 현재의 자리로 이전되었다. 건물 배치는 앞쪽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 뒤쪽에 제향 공간인 대성전이 있는 전학후묘 양식이다. 명륜당 앞에는 여름에 꽃이 피는 배롱나무가 자라고 있다. 향교의 외삼문을 지나면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어 유생들의 학문 공간이 느껴진다. 옥구향교에는 단군에게 제사를 지내는 단군묘가 함께 있다. 최치원의 영정을 모신 문창서원도 향교 안에 함께 위치해 있다. 세종대왕을 기리는 숭모비와 비각도 함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옥산서원까지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역사적 요소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ko)
Property Value
ktop:address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50(@ko)
ktop:category id:A02010700
ktop:closedForTheDay 연중무휴
ktop:location id:CATEGORY:370249
ktop:parking 가능
ktop:postalCode 54172
ktop:tel 063-454-3922
ktop:timeAvailable 상시 개방
dc:description 옥구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세운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이다.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에 위치한 이 향교는 조선 태종 3년인 1403년에 처음 세워졌다. 인조 24년인 1646년에 현재의 자리로 이전되었다. 건물 배치는 앞쪽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 뒤쪽에 제향 공간인 대성전이 있는 전학후묘 양식이다. 명륜당 앞에는 여름에 꽃이 피는 배롱나무가 자라고 있다. 향교의 외삼문을 지나면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어 유생들의 학문 공간이 느껴진다. 옥구향교에는 단군에게 제사를 지내는 단군묘가 함께 있다. 최치원의 영정을 모신 문창서원도 향교 안에 함께 위치해 있다. 세종대왕을 기리는 숭모비와 비각도 함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옥산서원까지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역사적 요소가 공존하는 공간이다.(@ko)
rdf:type :HistoricalPlace
:Attraction
:Place
schema:Place
:HistoricSite
:CulturalAttraction
rdfs:label 옥구향교(@ko)
geo-pos:lat 35.9306628917(xsd:double)
geo-pos:long 126.7072008533(xsd:double)
skos:altLabel 옥구향교(@ko)
skos:prefLabel 옥구향교(@ko)
foaf:depiction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28/3505928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27/3505927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26/3505926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25/3505925_image2_1.jpg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24/3505924_image2_1.jpg
foaf:name 옥구향교(@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