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ed Open Data

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ko)http://data.visitkorea.or.kr/resource/126166

Description
'구름을 마시고 토한다'는 토함산(745m)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와 석굴암은 찬란한 신라 불교문화의 핵심으로 신라 법흥왕 15년에 그 어머니 뜻에 따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위하여 세워졌으며, 그 후 신라 경덕왕 10년(751) 때 재상 김대성이 다시 지어 절의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건물은 물론 값진 보물들이 거의 불에 타거나 약탈되었다. 1920년 이전에는 일부 건물과 탑만이 퇴락한 채 남아 있었으나, 지속적인 원형복구 및 보수로 국보 7점을 간직한 오늘날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불국사에서 산등성이를 타고 약 3㎞ (포장도로 석굴로는 9㎞) 정도 올라가면 동양 제일의 걸작으로 알려진 여래좌상의 본존불이 동해를 마주 바라보고 있는 유명한 석굴암이 있다. 불국사, 석굴암은 1995년 12월 6일 해인사 장경판전과 종묘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공식 등재되어 국제적으로 더욱 유명해졌다. (@ko)
Property Value
ktop:address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ko)
ktop:babyEquipmentRental 불가능
ktop:category id:A02010800
ktop:closedForTheDay 연중무휴
ktop:creditCard 불가능
ktop:location id:CATEGORY:350245
ktop:parking 가능
ktop:postalCode 38127
ktop:tel 054-746-9913
ktop:timeAvailable 주중 09:00~18:00 (퇴장시간 19:00) 주말 및 공휴일 09:00~18:00 (퇴장시간 19:00) ※ 반려동물 입장 불가
dc:description '구름을 마시고 토한다'는 토함산(745m)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와 석굴암은 찬란한 신라 불교문화의 핵심으로 신라 법흥왕 15년에 그 어머니 뜻에 따라 나라의 안정과 백성의 평안을 위하여 세워졌으며, 그 후 신라 경덕왕 10년(751) 때 재상 김대성이 다시 지어 절의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건물은 물론 값진 보물들이 거의 불에 타거나 약탈되었다. 1920년 이전에는 일부 건물과 탑만이 퇴락한 채 남아 있었으나, 지속적인 원형복구 및 보수로 국보 7점을 간직한 오늘날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불국사에서 산등성이를 타고 약 3㎞ (포장도로 석굴로는 9㎞) 정도 올라가면 동양 제일의 걸작으로 알려진 여래좌상의 본존불이 동해를 마주 바라보고 있는 유명한 석굴암이 있다. 불국사, 석굴암은 1995년 12월 6일 해인사 장경판전과 종묘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공식 등재되어 국제적으로 더욱 유명해졌다.(@ko)
rdf:type :HistoricalPlace
:Attraction
:Place
schema:Place
:CulturalAttraction
:Temple
rdfs:label 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ko)
geo-pos:lat 35.7892734269(xsd:double)
geo-pos:long 129.3318475148(xsd:double)
skos:altLabel 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ko)
skos:prefLabel 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ko)
foaf:name 경주 불국사 [유네스코 세계유산](@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