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ix : .
@prefix ktop: .
@prefix radion: .
@prefix timeline: .
@prefix vann: .
@prefix geo-pos: .
@prefix org: .
@prefix dcterms: .
@prefix id: .
@prefix schema: .
@prefix rdfs: .
@prefix swrl: .
@prefix event: .
@prefix rdf: .
@prefix dc: .
@prefix geo-ont: .
@prefix protege: .
@prefix geo: .
@prefix foaf: .
@prefix xsp: .
@prefix ids: .
@prefix ktovoid: .
@prefix sd: .
@prefix void: .
@prefix vcard: .
@prefix wv: .
@prefix voaf: .
@prefix vtovoid: .
@prefix swrlb: .
@prefix owl: .
@prefix xsd: .
@prefix wgs84: .
@prefix skos: .
@prefix cc: .
{ ids:250134 a schema:Place , :Place , :CulturalAttraction , :HistoricalPlace , :Attraction , :HistoricSite ;
rdfs:label "율곡로"@ko ;
ktop:address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ko ;
ktop:babyEquipmentRental "불가능" ;
ktop:category ids:A02010700 ;
ktop:creditCard "불가능" ;
ktop:location ;
ktop:postalCode "03136" ;
ktop:tel "02-2148-1842" ;
dc:description "율곡로는 고궁 돌담과 가로수가 어우러진 도로이다. 원래는 창경궁과 종묘가 붙어 있었으나 1931년 일제강점기 일본이 민족 말살 정책의 하나로 창경궁과 종묘를 나누어 그 가운데 길을 냈는데 그것이 바로 율곡로이다. 아픈 역사를 간직한 율곡로는 지금 고풍스러운 돌담과 도로를 따라 늘어선 가로수가 어우러져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길이 지나는 관훈동에 조선의 대표적인 유학자 율곡 이이가 살았던 곳이 있어 그의 호를 붙여 율곡로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동십자각에서 이화동 사거리를 거쳐 동대문에 이르는 폭 30m, 연장 3㎞의 동서를 잇는 주요 간선도로로 미관이 우수하다."@ko ;
wgs84:lat "37.5769838749"^^xsd:double ;
wgs84:long "126.9944914897"^^xsd:double ;
skos:altLabel "율곡로"@ko ;
skos:prefLabel "율곡로"@ko ;
foaf:depiction , , ;
foaf:name "율곡로"@ko .
}